제14회 풀뿌리시민강좌
○ 주 제 : 여럿이 함께, 더불어 시민
○ 기 간 : 2014.05.22 ~ 2014.07.03
○ 시 간 : 매주 목요일, 오후 7:00부터 (강의 70분 + 질의·응답 20분)
○ 장 소 : 전북디지털산업진흥원 3층 세미나실 (휴체험관)
○ 참가비 : 전체 강좌 3만원(5인 이상 단체 등록 2만원), 개별강좌 1만원
○ 문 의 :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063-232-7119/www.pspa.or.kr
○ 강좌구성안
날 짜 |
강 사 |
강 좌 내 용 (제 안) | ||
[알수록 재밌는 전주 이야기] | ||||
1강 |
05/22 |
김진돈 |
전주문화원 |
전주 사람이 들려주는 ‘이야기 전주 탐험’ |
[과학과 사회] | ||||
2강 |
05/29 |
서민 |
기생충학자 |
건강의 허와 실 |
3강 |
06/05 |
이호 |
법의학자 |
닥터 리의 탐정아카데미 “완전범죄는 없다” |
[갑오동학 2주갑, 역사이야기] | ||||
4강 |
06/12 |
문병학 |
동학기념사업회 |
다시 피는 녹두꽃, 그 역사의 희망 |
5강 |
06/17 (화) |
이이화 |
역사학자 |
“파랑새는 산을 넘어” - 동학농민혁명과 전주 |
[사람과 공간] | ||||
6강 |
06/26 |
강미현 |
건축사 |
도시 전주, 건축가의 눈으로 바라보다 |
7강 |
07/03 |
김석균 |
생태건축가 |
흙으로 만드는 따뜻한 세상 |
제14회 풀뿌리시민강좌
여럿이 함께, 더불어 시민
○ 강좌 내용
전주 사람이 들려주는 ‘이야기 전주 탐험’ | 김진돈 금석문전문가/전라북도문화재전문위원
“풍남문이 남대문의 형님이라고요?” 비석 글씨가 들려주는 숨겨진 얘깃거리들을 따라 떠나는 색다른 전주탐험. 비빔밥, 콩나물국밥, 한옥마을, 막걸리촌... 인터넷 검색으로 찾아오는 배낭족들도 다 아는 그런 이야기 말고 말입니다!
“건강의 허와 실” | 서민 단국대 의대 교수
기생충학이라는 이색적인 의학 분야의 전문가이자 역설과 반어법이 넘쳐나는 촌철살인 시사칼럼으로 잘 알려진 서민 교수님을 소개합니다. 소탈하면서도 겸손한 말투지만 힘 있고 뼈있는 내용으로 좌중을 휘어잡습니다.
닥터 리의 탐정아카데미 “완전범죄는 없다” | 이호 전북대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오싹함과 긴장감이 넘치는 부검의의 수술대 앞에서 예리한 관찰력과 명철한 판단력을 발휘해야 합니다. 전북지역의 유일한 법의학박사이자 국립과학수사연구소 부검의이신 이호 교수님과 함께 죽은 자가 남긴 진실의 단편을 찾아내보세요.
다시 피는 녹두꽃, 그 역사의 희망 | 문병학 시인 /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이 충돌했던 120년 전의 한반도. 역사시간에는 절대로 가르쳐주지 않는 근현대 동북아정세와 그 가운데 솟구쳐 오른 농민군의 함성은 오늘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가? 그리고 무엇을 배울 것인가?
파랑새는 산을 넘어 - 동학농민혁명과 전주 | 이이화 민족문제연구소 소장 / 역사학자
역사바로잡기, 과거사청산, 친일인명사전편찬 등 한국근현대사의 흐름을 바로잡는 역사운동에도 활발하게 참여하신 이이화 선생님이 들려주는 갑오년 농민혁명 이야기. 동학농민혁명은 왜 일어날 수밖에 없었는가?
전주(全州), 건축가의 눈으로 바라보다 | 강미현 건축사 / 건축사무소 예감 대표
살고 싶은 공간, 사람냄새 나는 건축, 더불어 사는 동네를 고민하는 건축가에게 도시 전주는 과연 어떤 곳일까? 사람보다 성장과 개발이 우선시되는 도시계획에 반기를 든 젊은 건축가를 만나보자.
흙으로 만드는 따뜻한 세상 | 김석균 생태건축가 / 흙건축연구소 살림 대표
인간은 자연을 훼손하는 파괴자일까 아니면 그 속에 사는 자연의 일부일까? 일하는 것보다는 노는 것을 더 좋아하는 대목쟁이 김석균이 오래된 미래를 꿈꾸며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집을 짓겠다고 나섰다.